본문 바로가기

금융 투자/투자를 위한 거시경제 기초

순 수출의 결정 요인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이 있는가.

거시경제 관련 3번째 공유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총수요의 구성요소 가운데 소비와 투자의 의미, 특징, 결정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순수출의 결정요인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 환율

우리나라 수출품의 상대적 가격은 환율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바로 앞의 예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원화표시 가격이 16만 원, 미국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달러표시 가격이 110달러이고 현재 환율이 달러당 1,100원이라고 하자. 언급한 대로 이 경우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달러표시 수출 가격이 약 145달러로서 미국에서 생산된 휴대폰 가격보다 비싸므로, 이는 미국에서 생산된 휴대폰이 우리나라로 수출되는 상황이다.
이때 환율이 갑자기 달러당 1,600원으로 상승했다고 하자. 이전에 1달러로 바꾸기 위해서는 1,100원이 필요했지만 이제 1,600원이 필요하므로, 이는 우리나라 원화의 가치가 이전보다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새로운 환율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달러표시 수출 가격은 100달러(=16만 원/1,600원)로 하락한다.

이는 미국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가격인 110 달러보다 싸므로, 이제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미국 수출이 증가하는 반면 미국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은 감소할 것이다. 미국의 입장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이 감소한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수입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율이 상승할 경우(원화가치 하락), 우리나라의 수출은 증가하고 수입은 감소하여 순수출이 증가한다.
마찬가지 원리로 환율이 하락할 경우(원화가치 상승), 우리나라의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하여 순수출이 감소한다. 독자들은 위의 예를 통해 왜 그런지 스스로 생각해 보기 바란다.

ⓑ 교역대상국의 국민소득

어떤 나라의 수입 규모는 그 나라 국민소득의 크기와 정(+)의 관계를 가진다. 즉, 호황으로 인해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수입도 증가하고, 불황으로 인해 국민소득 이감 소하면 수입도 감소한다. 한편 한 나라의 수입은 이 나라와 교역하는 다른 나라의
입장에서는 수출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떤 나라의 수입이 경기 호황으로 인해 증가하면, 이와 교역을 하는 나라의 수출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어떤 나라의 수입 이경기 불황으로 인해 감소하면, 이와 교역하는 나라의 수출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우리나라의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우리나라의 수입이 증가하며, 수출이 불변인 상황에서 순수출은 감소한다. 반면 우리나라와 교역을 하는 외국의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우리나라의 수출이 증가하며, 수입이 불변인 상황에서 순수출은 증가한다.

 

ⓒ 교역대상국의 상대적 물가 수준

미시경제학에서 어떤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는 소비자의 소득 수준뿐만 아니라 그 상품의 상대적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국가 간 교역에서 우리나라 수출품에 대한 수요는 교역대상국의 국민소득 수준뿐만 아니라, 수출품의 상대적 가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어떤 전자회사의 동일 기종의 휴대폰을 우리나라와 미국의 현지 공장에서 동시에 생산한다고 하자. 또한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원화표시 가격이 11만 원, 미국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달러표시 가격이 110달러라고 하자. 만일 현재 환율이 달러당 1,100원이라고 하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달러표시 수출가 격은 100달러(=11만 원/1,100원)가 된다. 이는 미국에서 생산된 휴대폰의 가격인 110달러보다 싸므로, 거래비용이 존재하지 않고 자유로운 무역이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휴대폰의 미국에 대한 수출이 증가할 것이다. 이때 갑자기 우리나라 공장의 원재료 수급상황이 악화되면서,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원화표시 가격이 16만 원으로 올랐다고 하자. 즉, 우리나라 수출품의 수요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진 것이다. 환율이 달러당 1,100원으로 변함이 없다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휴대폰의 달러표시 수출 가격은 약 145달러 (= 16만 원/1,100원)가 된다. 

이는 미국에서 생산된 휴대폰 가격인 110 달러보다 비싸므로, 이제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휴대폰의 미국 수출이 감소하는 반면 미국에서 생산된 휴대폰의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은 증가할 것이다. 미국의 입장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수출이 증가한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수입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수출품의 상대적 가격이 상승하면 우리나라의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하여 순수 출이 감소한다.

ⓓ 마지막으로 순 수출의 의미와 특징은 무엇인가

순 수출은 수출에서 수입을 뺀 것이다. 수출은 국내에서 생산된 생산물 가운데 해외부문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총가치를 의미하므로 당연히 총수요의 구성요소로서 더해지는 것이 옳다. 한편 순 수출 이외의 총수요 구성요소인 소비 · 투자 · 정부지출에는 국내에서 생산된 생산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생산되어 수입된 생산물에 대한 지출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총수요 또는 총지출이라고 할 때는, 국내에서 생산된 생산물에 대한 지출만을 의미하므로, 해외에서 생산된 생산물에 대한 국내 지출, 즉 수입은 차감해야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수출만이 아니라, 여기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이 총수요의 구성요소로 포함되는 것이다.
GDP 대비 비율로 나타낸 우리나라의 수출, 수입, 순수출의 추이를 보여 준다. 투자의 기대를 수출과 수입 모두 추세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1990년대 말 외환 위기를 지나면서 순수출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GDP 대비 순수출의 비중은 한 자릿수에 그치지만 수출과 수입 각각으로는 전체 GDP의 40~50%를 차지할 만큼 대외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이와 같이 수출과 수입은 경제 규모 대비 비중이 클 뿐만 아니라,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경기변동에 따른 변동성 역시 비교적 큰 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수출과 수입은 투자와 마찬 가지로 경기변동의 주요 요인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결국 수출 및 수입의 주요 결정요인으로는 교역대상국의 국민소득, 상대적 물가 수준, 환율 등을 들 수 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